본문 바로가기

이슬람 문명, 이슬람 역사, 코란, 아랍

(20)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 하디스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 하디스 이슬람에서 쿠란 다음으로 중요한 경전인 '하디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디스는 아랍어로 "전승 이야기" 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예언자 무함마드가 남긴 성스러운 교훈, '성훈'을 담고 있는 책이 바로 이 '하디스'인데요. 우리가 보통 하디스를 얘기할 때 순나(sunna)라는 개념과 하디스라는 이 두 가지 개념은 매우 혼용되어서 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하디스와 순나는 거의 비슷하면서도 약간 의미가 다르다고 볼 수가 있는데요. 먼저 순나에 대해서 알아보면 순나라는 것은 교훈이 되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 다시 말해서 무함마드가 했던 말과 행동 그 자체를 우리가 순나라고 얘기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듯이 이슬람 세계는 크게..
예언자 무함마드의 유년 시절 예언자 무함마드의 유년 시절 이슬람의 창시자, 예언자, 무함마드의 탄생과 유년 시절 그리고 예언자로 부름을 받기 이전에 젊은 시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오늘날 아라비아반도 홍해변에 있는 메카라는 도시에서 570년에 태어났습니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우리가 구약 성서에 등장하고 있는 아브라함, 그리고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슬람에 따르면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은 아라비아반도 메카에 정착을 했고요. 그다음에 그 후손들 가운데서 쿠라이 시라는 사람이 등장을 했고 바로 여기에서 메카의 쿠라이시 부족이 탄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자손들 가운데는 하심이라는 인물이 탄생을 했고 여기에서 바로 쿠라이시 부족 내 유력한 가문 가운데 하나인 하심 씨족이 나..
쿠란의 정경화와 점진적 계시 쿠란의 정경화와 점진적 계시 쿠란의 특징 가운데서 먼저 쿠란의 정경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무함마드는 610년 40세가 되던 그 시기에 처음 가브리엘 천사를 통해서 알라로부터 쿠란을 계시를 받았고요. 쿠란의 계시는 632년 그가 62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무함마드는 610년~632년까지 23년 동안 쿠란을 계속 계시를 받았지만 그의 살아생전에 쿠란은 우리가 현재 보고 있는 책의 형태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무함마드가 살았던 그 당시, 무함마드가 죽었던 이후에도 수십 년 동안, 쿠란은 구전의 형태로 입을 통해서 전달되었고요. 또, 일부 내용들은 자료 화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야자수 잎, 동물의 뼈, 돌조각, 동물의 가죽 등에 아주 단편적으로..
쿠란 속 기독교의 선지자와 아브라함 쿠란 속 기독교의 선지자와 아브라함 이슬람의 교리에 따르면, 유일신 알라는 오직 한 분뿐이고, 알라는 인간들에게 계속적으로 계시를 내려왔습니다. 그리고 쿠란에는 총 25명의 예언자가 언급되었는데요. 그중에서 이슬람의 창시자, 예언자 무함마드는 가장 마지막으로 온 25번째 예언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4명의 예언자를 보면 좀 놀랍게도 대부분 기독교의 성서인 구약과 신약에 언급되어 있는 예언자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슬람의 경전 쿠란에는 최초의 예언자로 아담이 언급되어 있고요, 그다음에 노아, 아브라함, 이스마엘, 이삭, 야곱, 다윗, 요한 등으로 이어지고 그다음에 예수와 무함마드 총 25명의 예언자가 등장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슬람에서는 쿠란에 언급되어 있는 25명의 예언자들, 바로 ..
코란의 구성과 편집의 특성, 메카장과 메디나장 개념 코란의 구성과 편집의 특성, 메카장과 메디나 장 개념 쿠란의 구성과 편집의 특성, 그리고 쿠란의 '메카 장'과 '메디나 장'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쿠란이라는 경전은 원래 아랍어에서 읽다 또는 암송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카라아(qara'a)라는 동사에서 유래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쿠란이라는 경전은 우리가 아랍어 의미만 살펴보면은 '읽어야 될 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쿠란은 영어식 발음으로는 코란이라고 부르고요. 아랍어 발음으로는 '꾸란' 또는 '쿠란'이라고 표기될 수가 있습니다. 쿠란의 편집 구성 쿠란은 전체 114개의 장과 약 6600개 정도의 절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쿠란은 각 장마다 제목이 붙어 있는데요. 예를 들어서 제1장은 '알파티하'라고 되어 있죠. ..
중동지역의 역사적, 전략적 중요성 중동지역의 역사적, 전략적 중요성 중동 지역이 20세기에 들어서서 국제적으로 어떤 전략적인 중요성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앞에 수업 시간에서도 보았듯이 15~16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부터 유럽 각국은 바로 인도로 가기 위한 항해 루트를 선점하기 위해서 각국마다 경쟁을 벌였는데요, 이런 경쟁에 가장 먼저 선두로 나섰던 나라가 바로 포르투갈이었습니다. 포르투갈의 인도 항해 선점 포르투갈은 1510년 인도의 고아 지역을 점령했고요, 1511년에는 바로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이에 있는 해협, 바로 말라카 해협이죠, 그곳을 점령을 했습니다. 그리고 포르투갈은 인도로 가는 무역 루트의 중간 지역에 있는 바로 인도양 무역의 중간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아라비아반도에 ..
중동, 아랍, 이슬람 국가의 범주 분류 중동, 아랍, 이슬람 국가의 범주 분류 중동은 바로 지리적인 개념입니다. 그리고 오늘날 지역학에서는 보통 Middle East라는 말보다는 북아프리카 지역까지 합쳐서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라고 부르는 것이 보편적이다라고 언급을 했습니다. 그리고 MENA 지역 즉, 중동 지역에는 총 25개 국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 아랍 국가는 22개국이고 다음에 바로 튀르크 인들이 살고 있는 터키, 페르시아인들의 살고 있는 이란, 그다음에 유대인들이 살고 있는 이스라엘, 바로 비 아랍 권 국가들이 3개국 있습니다. 그래서 아랍 22개국과 비아랍 3개국을 합쳐서 우리가 MENA 지역에는 25개국이 있다라고 정리를 할 수가 있고요. 아랍이라는 개념은 민족적인 개념인데 바로 MENA 지역..
아랍의 개념과 언어 문화적 기준 아랍의 개념과 언어문화적 기준 아랍이라는 것은 민족적인 개념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동 지역에 살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민족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랍인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동 지역을 우리가 여행을 해보면 그곳에는 다양한 민족들, 또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여러 민족들이 살고 있는데요, 중동을 대표하는 가장 대표적인 민족으로는 아랍인들 그다음에 튀르크인(터키인)들이죠. 그다음에 페르시아인(이란인)들이라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히브리인(유대인)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밖에도 중동 지역에는 베르베르인, 쿠르드인 그다음에 누비아인 이런 소수 민족들도 있습니다. 아랍어와 히브리어의 동질성 아랍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가 당연히 아랍 어겠죠? 근데 ..
아랍, 튀르크, 페르시아의 차이점 아랍, 튀르크, 페르시아의 차이점 중동을 대표하는 민족 가운데 아랍인과 페르시아인 그다음에 튀르크 인들이 민족적으로 나 또는 언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랍인들의 정체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랍어'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 '아랍어'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셈족 어군에 속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셈족 어군에 속하는 언어로는 아랍어 이외에 히브리어, 아람어, 가나 언어, 아무르어, 악카 드어 등이 있는데요. 그리고 우리가 종전에도 이야기하듯이 아랍어와 히브리어는 같은 셈족 어군에 속하면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아랍어와 히브리어는 발음이 비슷한 공통 어휘들도 많이 있고요, 그다음에 또 어순이나 문법적인 구조도 매우 유사..
아담과 원죄에 대한 해석의 차이 아담과 원죄에 대한 해석의 차이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은 이야기 그리고 또 '원죄론' 다음에 '구원론' 등에 있어서 이슬람과 기독교가 어떠한 해석의 차이를 내놓고 있는지 비교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슬람의 경전 쿠란에는 기독교의 성경 구약의 창세기와 유사하게 '유일신'이 천지를 창조하고 아담과 하와를 창조했다는 이야기가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쿠란 32장 4절을 보면 이와 같은 이야기가 나옵니다. "알라께서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모든 것을 엿새 동안에 창조하신 후 권좌에 오르셨다. " 이슬람의 교리에 따르면 유일신 알라는 6일 동안에 천지의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6일째 되는 날에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하와를 만드셨고 7일째 되는 날에 쉬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쿠란..